Finance

압류 급증 17%…고금리 시대, 집 지키기 버거운 미국 주택 소유자들


미국 전역에서 주택 압류 절차가 다시 늘고 있다. 부동산 데이터 분석기관 ATTOM의 최근 보고서에 따르면 2025년 3분기 기준 압류 활동이 전년 대비 17% 증가했다. 이는 팬데믹 이후 잠시 안정세를 보이던 주택 담보대출 연체율이 다시 높아지고 있음을 보여주는 지표로 평가된다.

전문가들은 급격한 금리 인상과 주택 가격 상승, 그리고 실질소득 둔화가 복합적으로 작용하면서 일부 차주가 상환 압박을 견디지 못하고 있다고 분석한다. 특히 저소득층과 중산층 가구를 중심으로 연체 건수가 빠르게 늘어나고 있다는 점이 우려를 키우고 있다.

ATTOM 데이터에 따르면 플로리다, 일리노이, 오하이오, 캘리포니아 등 일부 주에서 압류 통지가 두 자릿수 증가율을 기록했다. 팬데믹 당시 일시적으로 중단되었던 모기지 상환 유예 조치가 종료된 이후, 연체 기간이 길어진 차주들이 실제 압류 절차로 이어지는 사례가 늘고 있다. 전문가들은 이번 상승세가 금융 시스템 전반의 위기를 의미하는 수준은 아니지만, 가계 부채 부담이 구조적으로 높아지고 있음을 경고한다.

압류 증가의 또 다른 배경에는 고금리 기조가 있다. 2022년 이후 연준의 금리 인상으로 신규 대출뿐 아니라 변동금리 모기지(ARM)를 보유한 차주들의 상환액이 급등했다. 주택 가격이 일정 부분 조정되었음에도 불구하고, 기존 대출자의 이자 부담은 줄지 않았다. 여기에 생활비와 보험료, 재산세까지 상승하면서 실질 가처분소득이 줄어든 가구가 많다. 일부 지역에서는 차주들이 주택을 매각해도 남은 부채를 모두 상환하기 어렵다는 ‘언더워터(negative equity)’ 상태가 다시 증가세를 보이고 있다.

금융 전문가들은 이번 통계를 단기적인 경기 불안의 전조로 해석하기보다는, 금리와 물가가 고착화된 환경에서 나타나는 ‘지속적 압박 신호’로 본다. 대출 기관들도 리스크 관리를 강화하고 있으며, 채무조정 프로그램이나 임시 상환 유예 정책을 일부 재도입하고 있다. 다만 주택 시장 전반의 회복이 더디다면 이러한 조치로도 차주의 부담을 근본적으로 해결하기는 어렵다는 지적이 나온다. 최근의 압류 증가는 단순한 수치가 아니라, 고금리 시대의 가계 재정 구조가 어디까지 버틸 수 있는지를 보여주는 경고 신호로 받아들여지고 있다.

Disclaimer
The information provided is not financial advice and should not be relied upon for investment or financial decisions—see full disclaimer.

제공된 정보는 재정적 조언이 아니며, 투자나 금융 결정을 내리는 데 의존해서는 안 됩니다 — 전체 면책사항 보기.